4차 산업혁명이 모든 것을 다 해결해 줄 것 처럼 말하는 사람들은 규제와 제도들이 혁신을 옭아맨다고 주장하곤 합니다. 하지만 그런 혁신이 사회에 바람직한 모습으로 기여하게 만드는 것이 규제입니다. 청년들이 약탈적 공유경제에 가장 취약한 계층인 바, 속도만 쫓지 말고 사회적 합의를 가지고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해야 합니다.
일본의 최근의 경제보복은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한국 법원의 배상 판결에 대한 반발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일본과 한국의 민주적으로 바람직한 역사를 살피며, 일본이 외치는 "과거는 잊자"를 넘어서는 방법에 대해 탐구합니다.
청년은 우리 사회의 미래를 이끌어나가는 주체였지만 어느샌가 연약하고 지켜줘야할 존재가 되었습니다. 단어 자체가 예전에 비해 부정적인 의미를 많이 품게 되었습니다. 물론 시대의 사정상 그런 현실에 놓여는 있으나 이 자리에 안주하는 것으로 만족할 청년이 아닐 것입니다. 청년이란 단어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여 위기의 한국을 구하는 청년들이 되자는 제안입니다.
최저임금위원회는 올해도 또 많은 논란을 빚었습니다. 이긴 진 쪽도 행복하지는 않습니다. 최저임금에 너무 많은 사람들의 삶이 걸려있는 것이 문제입니다. 청년이 최저임금에 가장 큰 영향을 받습니다. 최저임금은 청년임금이라 해도 좋을 것입니다. 청년이 최저임금위원회에 기성세대의 시혜, 배려로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당당한 주체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가 배려해야 할 것입니다.
Comments